본문 바로가기
특수교육

2022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by Hawapok 2023. 5. 9.

출처: 교육부- 특수교육 5개년 개획 목표(2023-2027)

2022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고시

교육부 고시 제2022-34호

유아교육법 제13조제2항, 초·중등교육법 제23조제2항 및 제 48조,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 20조제1항, 국가교육위원회법 부칙 제4조에 의거하여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한다. 

1.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과 같다. 

2. 유치원 교육과정, 공통 교육과정 및  선택 중심 교육과정은 [별책 2]와 같다.

3. 기본 교육과정은 [별책 3]과 같다.

 

2022년에 고시된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은 각 학교급과 학년마다 시행 일시가 상이하다. 

- 유치원과 초등학교 1, 2학년의 경우 2024년 3월 1일 자로 적용되며

- 초등학교 3,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은 2025년 3월 1일 자로 시행, 

- 초등학교 5, 6학년과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은 2026년 3월 1일 자로 시행 예정이다. 

- 2027년 3월 1일자에 마지막으로 중학교 3학년 및 고등학교 3학년에게 시행된다. 

 

 

중간중간 법령이나 현실 여건의 변화, 코로나와 같은 재난 대비를 위해 필요한 경우 검토 과정을 통해 해당 교육과정의 개정이 이루어진다. 

실제 개정된 부분이에 대한 개정 고시 전문은 교육부 홈페이지와 국가교육과정정보선터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보통 국가 교육과정 정보센터에서 자료들을 많이 살펴보는데, 이전 교육과정까지 모두 확인할 수 있어서 비교·분석이 필요할 때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사이트이다. 자료 게시도 깔끔하게 분류되어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교육부 홈페이지(wwww.moe.go.kr) > 법령 정보 > 입법·행정 예고

-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nice.re.kr) > 교육과정 자료실 > 교육과정 원문 및 해설서

 

 


2022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은 2019개정 누리교육과정과 202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을 기반으로 특수교육대상학생들에게 필요한 항목 및 요소들을 연구를 통해 추리고 다듬었다. 때문에 기본적으로 202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그 안에 관련 내용들을 추가되었다. 202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과 비교해가면서 어떤 부분이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을 위해 더해졌는지를 확인해보는 것도 총론을 알아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2022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의 목차는 아래와 같다. 

제 1부 유치원 교육과정

교육과정의 성격 

I. 유지원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 1. 추구하는 인간상 / 2. 목적과 목표 / 3. 구성의 중점

II. 유치원 교육과정의 운영 - 1. 편성·운영 / 2. 교수·학습 / 3. 평가

제 2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정의 성격

I.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 1.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 2. 추구하는 인간상과 핵심역량 / 3. 학교급별 교육 목표

II. 학교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 - 1. 설계의 원칙 / 2. 교수·학습 / 3. 평가 / 4.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기회의 제공

III. 학교급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 1. 기본사항 / 2. 공통 교육과정 및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 3. 기본 교육과정 편성·운영

IV. 학교 교육과정 지원 - 1. 교육과정의 질 관리 / 2. 학습자 맞춤교육 강화 / 3. 학교의 교육 환경 조성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비교하면 2022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내용이 혁신적으로 변화하지는 않았지만 세계화 시대와 코로나 시대를 반영한 요소들이 곳곳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각 학교급별 주요 요소들을 언급하자면 유치원의 경우에는 '놀이 중심'이 키워드가 되어 유아 주도를 강조하고 있고, 초등학교는 '기초학력' 과 관련하여 많은 자료와 연구들이 이미 진행되고 있으며 점점 더 확대될 전망이다. 중학교의 경우 '자유학기제'가 자리잡고 다양한 접근으로 현장에서 적용하는 방안과 사례가, 고등학교의 경우 '고교학점제'가 주요 요소로 중점이 되는 교육과정이 될 전망이다.

 


2024년부터 적용되는 교육과정인 만큼 지금도 각 학교급, 주제, 논의점 등과 같은 관점에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자들과 각 시·도의 관련인들이 머리를 맞대어 다양한 매뉴얼과 지침, 안내서 등을 계속해서 제공할테니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꾸준히 교육청 및 관련 부서 홈페이지를 방문해보길 권한다. 

 

2022년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과 함께 살펴보면 좋을 자료들 목록을 작성해보았다.

현재까지 발간되고 배포된 자료들도 이미 방대하기 때문에 해당 목록은 '교육부' 혹은 '국립특수교육원'에서 발간된 자료들만을 최소한으로 작성한 것임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 2022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 202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NCIC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ncic.re.kr

 

-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개발 연구

- 2023 특수교육 운영계획

- 제6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2023-2027)

*교육부

 

교육부 > 정책 > 주요업무계획 > 2023년 교육부 업무보고

인포그래픽 상세보기 카드뉴스 상세보기 업무계획 상세보기 보도자료 상세보기

www.moe.go.kr

 

 

+ 덧붙여서 언급!

2022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제 2부 초·중등학교교육과정 - IV. 학교 교육과정 지원 섹션에서는 교육과정의 질 관리와 학습자 맞춤교육 강화, 학교의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해서 국가 수준의 지원과 시·도 교육청 수준에서 어떠한 지원을 제공할 것이지에 언급하고 있다. 

앞서 언급했다시피 현재도 각 시·도 교육청에서 2022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다양한 정보들이 나오고 있는데 각 시·도 홈페이지를 돌아보기에는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린다. 

특정 사업을 잘 구성한 시·도가 있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자료들이 잘 골고루 구비되어 있는 시·도를 추천하자면, 아래와 같다!

서울특별시 교육청 / 경기도 교육청 / 인천광역시 교육청 / 경상남도 교육청 / 충청남도 교육청

'특수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교육대상자의 초등학교 입학  (0) 2023.05.29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절차  (0) 2023.05.25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실태  (0) 2023.05.24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란?  (0) 2023.05.16
자폐 범주성 장애란?  (0) 2023.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