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갓생 꿀팁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청년소장펀드) 간단 비교분석

by Hawapok 2023. 7. 23.

 

오늘은 정부에서 청년들을 위해 실시하는 금융 정책 중에 가장 유명한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청년소장펀드)를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대체 어떤 상품이 나에게 더 이익이고 뭘 가입해야하는지 잘 모르셨던 분들은 끝까지 잘 읽어보시기 바라요!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에서 제공하는 특별한 종류의 적금 상품으로 주로 저소득 청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따라서 높은 이자율과 추가 혜택을 제공해 저축을 유도하는 것에 목적이 있습니다.

월 70만원씩 5년을 모으면 5천만원을 만들어주는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장점

✓높은 이자율: 이자율 20% 총 이자 수익금은 8백만원 내외

✓정부 지원: 지정된 이자율에 추가적으로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어 더 많은 저축 기회가 제공됨

✓세제 해택: 이자 소득에 대해 공제 해택이 제공

 

 

청년도약계좌 단점

✓한정 금액: 계좌 개설 시 한정된 금액 예치해야함

✓조건 충족: 연봉 6천만원 이하 & 금융소득이 2천만원 이하인 대상자만 가입가능

✓필수 예치기간: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되지 않으면 비과세 해택 적용 불가

 

투자 사진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청년소장펀드는 저축과 투자를 넘나드는 형태의 장기투자 상품입니다. 

청년들의 자산형성에 도움을 주기 위해 세제 감면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청년소장펀드 장점

✓세제 해택: 연 600만원 한도 내에서 투자한 금액의 최대 40%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음

✓투자 수익: 저축과 이율을 더해서 투자를 통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음

✓투자 전략: 개인적인 투자 성향에 따라 다양한 펀드 종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자신에게 맞는 투자 계획 세울 수 있음

 

청년소장펀드 단점

✓리스크: 원금 보장을 하지 않기 때문에 투자 과정에서 원금 손실이 일어날 수 있음

✓제한적 해택: 최소 3년 이상 상품을 유지해야하며 그 전에 해지 시 추징금 6.6%를 납부해야 함

✓준비 필요: 단순한 저축을 통한 목돈 모으기가 아니기 때문에 투자에 대한 기본적 금융지식이 필요

 

 

요약

▼ 청년도약계좌 VS 청년소장펀드 비교표 ▼

  청년도약계좌 청년소장펀드
가입연령 만 19세 ~ 만 34세 이하 만 19세 ~ 만 34세 이하
가입조건 총 연소득 7,500만원 이하 도는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직전 과세기간 중위 가구소득 180% 
연소득 5,0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3,800만원 이하 
가입기간 5년 3년 ~ 5년
납입한도 월 최대 70만원 
연 최대 840만원
월 최대 50만원
연 최대 600만원
이자  최대 6% 
+ 정부기여금 2.4% 이내
= 8.4%
납입금액 6.6% (연말정산)
+ 투자수익 별도
= 6.6%+a
특징 최초 3년 이후 변동금리로 변경됨에 따라 이자소득이 감소할 수 있음 원금 + 수익에 대한 최대 40% 소득공제로 세재해택을 제공함
비고 연소득 6천만원 이하여야만 정부지원금 2.1% 적용 가능 시중 은행 중 상품이 출시된 곳에서만 가입 가능하여 제한적임

 

 

두 상품 모두 청년들에게 장기적으로 금융적 안정을 제공하기 위해 정부정책으로 시행되고 있는 상품입니다. 

따라서 청년도약계좌와 청년소장펀드 중 자신의 금융적 상황과 목표를 고려하여 선택해 꼭 가입해보시기 바랍니다. 

 

▼ 같이 읽으면 좋은 글 ▼

2030을 위한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해택 및 가입자격 총정리

 

2030을 위한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해택 및 가입자격 총정리

벌써 한해의 절반이 지나가고 있고 곧 연말정산의 시기가 다가올 예정입니다. 받을 수 있는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잘 챙겨야지 추가 징수를 당하지 않고 환급 받을 수 있는거 다들 아시죠? 그

pokei589.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