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단계(Second Step)의 역사
- 1979년 아동위원회 설립: 문화인류학자 제임스(James, J.)와 보이어(Boyer, D.) '학대 및 성학대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1981년 '만지는 것에 대해 말하기' 프로그램: 아동이 개인 안전 기술을 습득하고, 성적 피해를 인지하여 이에 저향하고, 교사와 부모에게 신고하는 기술을 배움으로써 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기술을 배움
- 1985년 '다음 단계' 프로그램: 개인 안전은 아동 안전의 첫 단계일 뿐,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아동이 학대자로 자라지 않게 하는 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아동의 안전과 안녕,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 1992년 슈어(Shure, M.B.)의 'I Can Problem Solve(ICPS)' 프로그램: 다음 단계 프로그램과 유사하지만 구체적인 행동보다는 사회 문제의 해결 방법을 지도하는 데 중점을 둠
ICPS는 파괴적인 행동을 줄이기 위해 고안된 예방 및 재활 프로그램이다. 대인관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돕는 방식으로 생각하는 방법이 아닌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인지적 접근
⓵ 사전 문제 해결 능력 - 문제 해결 어휘 학습, 자신과 타인의 감정 파악, 타인의 관점 고려
⓶ 문제 해결 능력 - 하나 이상의 해결책을 생각하고, 결과를 고려하며, 연령에 맞는 순서 및 계획 능력
- 2001년 미국 교육부의 공식 추천 프로그램으로 권장됨
- 다음 단계 프로그램 공식 홈페이지
- 다음 단계의 목적
- 아동과 청소년의 폭력적인 언어 및 행동 문제를 감소시키고 사회성을 함양하며, 정서적·대인관계적 인지기능을 향상시켜 대인관계 개선
- 다음 단계의 주요 내용
1. 학습기술
- 학습 기술 함양을 위해 경청, 주의집중, 지시 따르기, 자기대화 사용, 주장하기 같은 적극적인 의사소통 전략을 강조
- 집중력, 주의력, 경청, 자기 대화 사용, 적극적인 의사소통 전략을 중시함
- 요소: 자기관리, 자기인식, 책임감 있는 의사결정
2. 공감
- 다른 사람의 사고나 감정을 이해하며 같이 느낄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함
- 정서적이면서 인지적 공감의 복합적인 측면을 다루기 위해 다양한 감정을 식별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 및 의견을 존중하고 수용하는데 중점을 둠
- 요소: 자기관리, 자기인식, 책임감 있는 의사결정
3. 감정 관리
- 학생이 느끼는 다양한 감정과 그에 따른 신체적 신호를 의식하고 감정을 스스로 다스리며 관리하는 능력
- 조절하기 힘든 감정들을 식별하고 대처할 수 있게 대인관계를 맺은 수 있는 기반 제공
- 분노, 실망, 걱정, 당황, 조절감, 불안, 비난 등의 대처하기 어려운 감정들을 반복적으로 다루며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을 지원
- 요소: 자기인식, 사회적 인식, 책임감 있는 의사결정, 관계 기술
4. 문제해결
- 학생이 문제가 무엇인지 말하고 관련된 사람들의 다양한 관점을 파악하여 문제를 분석하는 방법을 학습함
- 문제해결을 위한 몇 가지 해결책을 생각해 보고 각 해결책의 실행 가능성과 결과를 평가하여 최상의 해결책을 찾아 시행 계획을 세우는 과정을 지도함
- 학생들이 문제를 말하고 / 해결책을 생각해보고 / 결과를 탐구하여 / 최상의 해결책을 찾는 네 가지 단계의 문제 해결법 습득
- 요소: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인식, 책임감 있는 의사결정, 관계 기술
- 다음 단계 교육과정 요약 (유치원 이전 ~ 8학년)
1. 유치원 이전
- 학습기술, 공감, 감정 관리, 우정 기술/ 문제 해결, 유치원으로 전환
2. 유치원
- 학습기술, 공감, 감정 관리, 문제 해결
3. 초등학교 (1학년~3학년)
- 학습 기술, 공감, 감정 관리, 문제 해결
4. 초등학교 (4학년~5학년)
- 공감 및 학습기술, 감정 관리, 문제해결
5. 중등 (6학년~8학년)
- 사고방식과 목표, 따돌림과 괴롭힘 인식하기, 생각-감정-결정, 관계관리/사회적 갈등
- 논문 적용 중학교 다음 단계 프로그램의 논리 모델
1. 프로그램 투입
[Second Step 6학년 수업]
- 사회정서 기술 개발: 공감, 적극적인 의사소통, 감정 조절, 문제 해결
- 따돌림 예방: 따돌림 인식하기, 방관자 개입
[Second Step 7학년 수업]
- 사회정서 기술 개발: 공감, 적극적인 의사소통, 감정 조절, 문제 해결
- 따돌림 / 성희롱 예방: 따돌림에 반응하기, 사이버 따돌림, 성희롱
2. 중재자
[사회적 인지, 학습 기술, 따돌림 태도]
- 공감 및 자기주장 기술 향상
- 감정 조절 및 의사소통 향상
- 또래와의 친사회적 상호작용 증가
- 대인관계 문제 해결 향상
- 따돌림을 지지하지 않는 태도 및 또래 규범
- 긍정적인 방관자 개입 증가
3. 주요 결과
[감소]
- 따돌림 행위, 또래 괴롭힘, 신체적 공격성, 동성애 혐오적 욕설 행위, 동성애 혐오적 욕설 피해자, 성희롱 행위, 성희롱 피해자
[증가]
- 학교 성공 증가, 학교 유대감 및 소속감 증가, 또래 관계 개선, 외현화 및 내재화된 행동 패턴 감소
- 국내 적용 시 고려사항
- 아동 및 청소년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학년 수준의 내용을 선정하여 적용하는 과정이 필요함
- 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실행하기 위해 교육 내용과 연계하고 수업 시수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전체 학교 교육과정 측면에서 장기적인 프로그램 계획을 세우고 운영하는 시도 필요
- 학교나 교실 내 수업 및 학교 밖의 다양한 연계 활동 등과 같은 지역 인프라를 활용해 통합하여 운영하는 융합적 접근 필요
- 관련 연구
홍현주, 남궁환, 이인재 (2020). 'Second Step'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공감 및 자기조절 능력 함양 프로그램 개발.
홍현주, 이인재 (2022). 'Second Step'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성장 마인드 셋 & 목표설정과 문제해결 능력 함양 프로그램 개발
'특수교육 > 사회정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멋진 나날 중재 프로그램 (0) | 2023.05.23 |
---|---|
쓰기 중재 전략, SRSD (0) | 2023.05.17 |
사회정서학습(SEL)이란? (0) | 2023.05.03 |
사회정서: 강한아이(Strong Kids) 프로그램 (0) | 2023.05.02 |
사회정서: 스킬스트리밍(Skillstreaming) (0) | 2023.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