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순 쓰기 관점 (Simple wiew of writing : SVW)
작문 (Text generation) + 전사: 글씨쓰기 (Transcription) + 자기규제 (Self-regulation)
- Point. 작문의 작업기억 용량이론!!!
작업기억은 그 총량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작문하면서 특정 단어를 정확하게 철자하는 데에 지나치게 인지능력과 시간을 소비하면 작업기억에 저장했던 쓰고자 하는 내용ㅇ과 계획을 잊어버리게 된다는 이론으로 단어와 철자를 기계적으로 쓸 수 있어야지만 작문의 양과 질이 향상된다는 관점
- 자기조절 전략교수 - SRSD (Self 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 학업 부진, 학습장애, ADHD, 정서 행동장애 등의 학생들 뿐만 아니라 장애가 없더라도 쓰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 교수
- 명시적 교수 + 읽기 및 쓰기 전략 + 자기조절 절차가 모두 포함되어야만 SRSD라고 할 수 있음
- 30년 이상 연구된 증거기반의 실제로 인정된 전략 방식
- 대상자 맞춤형으로 굉장히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음
- SRSD 주요 특징
1. 상호학습 (Interactive Learning)
- 교수자와 학습자가 목표를 설정하고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서 서로 협력한다는 뜻
- 성공적 글쓰기를 위하여 그 과정을 점검하고 전략을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야함
- 상호학습을 통해서 교수자와 학습자는 안정적인 학습환경을 구축하고 긍정적 관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받음
2. 개별화
- 학생이 글쓰기에 대해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지닐 수 있게 사회적, 정서적 지원을 제공
- 자신의 능력과 필요에 맞게 자기조절 절차를 개발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
- 일대일 지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소그룹 혹은 학급 전체에서도 개별적 요구에 적합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함
3. 준거 중심의 교수
- 학생이 자기조절 절차를 학습하는 동안 충분한 시간을 제공
- 시간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충분히 학습할 때까지 반복적 지원을 시간 제약 없이 제공할 수 있음
4. 발달적 과정 (Developmental Process)
-교수에 대한 기대와 계획을 포함하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을 제공하기 전 브레인 스토밍을 통해 전략 토의 필요
- 교수와 학습이 학습자의 연령이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적용되어야 함
- 학생들의 요구와 특성이 중요하게 고려되어 전략이 제공되어야 함
- SRSD 절차
1. 목표 설정
- 학습자가 학습에 대한 목표 설정 뿐만 아니라, 자신이 얼마나 많은 전략을 활용할 것인가도 포함되어야 함
2. 자기 점검
- 학습하는 동안 자신의 행동을 인식하기 위해 활용함
- 목표 행동 수행 여부에 대한 자기 평가를 통해 이루어지며 목표 점검 과정을 통해 확인 가능함
- 얼마나 많은 전략을 적절히 사용했는지 지속적으로 점검기록지를 통해 확인
3. 자기 교수
- 내현화된 자기 안내로서 학생이 과제를 수행하도록 적절한 모델링을 제공하고 모델링 이후 학생이 개별적 학습요구 만족을 위한 자기만의 ㅈ'자기 진술문'을 작성하도록 지원하는 과정
- 글쓰기 과정을 통해서 활용될 수 있는 자기 교수 유형:
1) 문제 정의 2) 주의와 계획에 초점두기 3) 전략 수행 4) 자기 평가 5) 대처와 자기 통제 6) 자기 강화
4. 자기 강화
- 결과에 대해 스스로 관리하는 것으로 긍정적 혹은 부정적 결과로 반영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른 강화가 외현화 강화와 내재적 강화가 모두 제공 될 수 있음
- 해당 4가지 절차들은 위계적인 절차가 아닌 순환적인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생의 수준과 흥미에 따라 특정 단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음
- SRSD 단계
각각의 단계는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이 고려되어야 하며 초기에는 교수자의 지원이 많이 제공되더라도
1. 배경지식 활성화
- 이야기 글, 설득하는 글 등 장르를 읽고 어휘발달에 초점
- 지식 및 개념에 대한 내용 교수하기
2. 토의하기
- 학생들의 현재 쓰기 능력과 자기조절 능력을 탐색하는 단계
- 작문하기 전에 사용하는 자기점검 그래프 소개하기 : 목표를 설정하는데 도움
- 배우게 될 전략에 대해 토의하기 : 목적, 장점, 어떻게, 언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토의
- 학생들이 학습하게 될 전략을 설정하고 함께 활동할 협력 파트너 정하기
3. 시범보이기
- 교사가 쓰기와 자기조절전략에 대하여 소리내어 시범 보이는 단계
- 자기 평가와 자기 기록을 통해 작문 모델을 그래프화 함
4. 기억하기
- 초기 단계에서 자기 교수 단계와 전략을 기억하고 적절하게 사용하고 확인
5. 지원하기
- 성공적으로 글쓰기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쓰기와 자기조절 전략을 교사와 협동하여 사용함
- 학생들이 작문을 혼자서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을 때까지 촉구, 안내, 협력하기 지원하되 점차 지원을 소거해 나감
6. 독립적 수행
- 학생들이 과제와 자기조절전략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
- 유지와 일반화르 ㄹ위한 계획은 지속적으로 토의 및 시행을 통해 지원

- 관련 연구
- 김미령, 손승현(2019). 자기조절 전략을 활용한 읽기, 쓰기 교수가 경도지적장애 학생의 읽기이해 및 쓰기에 미치는 효과
- 문연희, 박용한(2023). 초등학생의 동기 강화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쓰기 프로그램 효과
- 신재현, 정평강(2017). 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 및 장애 위험군 학생을 위한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중재 문헌 분석
- 진미영, 박지연(2012). 자기조절ㄹ 전략개발(SRSD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가 회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특수학급 학생의 글쓰기 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 사회정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멋진 나날 중재 프로그램 (0) | 2023.05.23 |
---|---|
사회정서: 다음단계(Second Step) 프로그램 (1) | 2023.05.08 |
사회정서학습(SEL)이란? (0) | 2023.05.03 |
사회정서: 강한아이(Strong Kids) 프로그램 (0) | 2023.05.02 |
사회정서: 스킬스트리밍(Skillstreaming) (0) | 2023.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