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교육/사회정서

사회정서: 강한아이(Strong Kids) 프로그램

by Hawapok 2023. 5. 2.
  • 정서 행동 장애 학생의 특성

1. 외현화 행동 특성 

- 사람이나 사물에 대한 공격적 양상

- 과도한 언쟁 및 지속적 성질부림

- 힘이나 언어적 방법으로 복종을 강요

- 합리적 요청에 응하지 않음

- 지속적인 거짓말 또는 도벽 행동을 보임

- 자기조절력 결핍 및 과도한 행동이 반복됨

- 인간관계 형성 및 유지에 방해가 되는 특정 행동

 

2. 내재화 행동 특성

- 슬픔, 우울함, 자기비하 등과 같은 감정을 표출

- 환청이나 환각을 경험함

- 특정 생각이나 의견에서 벗어나는데 어려움이 있음

- 반복적이고 쓸모없는 행동에 집착함

- 갑자기 울거나 웃는 등의 갑작스러운 감정을 표출함

- 공포, 불안, 복통, 현기증이나 구토 등의 표현

- 자실이나 죽음에 대한 언급이 잦거나 몰두하는 모습을 보임

- 이전에 흥미로워하거나 관심있던 요소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줄어듦

- 또래들로부터 언어적, 신체적, 정신적으로 무시당하는 경험

- 활동 수준이 심각하게 제한됨

 

출처: 픽사베이(pixabay)

 

  • 강한아이 프로그램 개요

- 사회정서학습(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프로그램으로 학교 상황에서 학생들이 사회정서 기술을 명시적으로 배우고 연습하는 프로그램 

- 미국 현행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중에서도 학교 교육에 가장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교육 프로그램으로 분류

- 아동과 청소년의 정서적 역량과 사회적 역량을 증대시켜 학교 생활을 의욕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경험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

- 머렐 교수가 개발하였으며 2007년 메뉴얼을 통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이후 2016년에 두번째 메뉴얼이 출간됨

- 우리나라에는 2014년에 초등학교 고학년용과 중학생용이 번역되어 출판되었고, 2015년에 고등학생용 '강한 청소년'이 번역되어 출판됨

 

  • 적용 대상 및 기본 원칙

-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함

- 초기에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만 있었으나 현재는 유치원, 초등학교 저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생,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들이 모두 고안되어져 있음

- 학교 폭력, 반사회적 행동 등과 같은 외현화 행동특성을 보이는 학생 + 내면화된 행동, 감정,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

- 사회정서 역량의 향상에 중점을 두고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함 

- 구조화된 프로그램 제공으로 매 회기의 수업 지도안, 활동 및 자료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매 회기의 지도안은 한 차시 동안에 진행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으며 학습자 경험을 반영하여 재구조화를 통한 수업 진행 가능

-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을 권장하며 학급 실정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사례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면 사회 정서적 기술 습득에 효과적이며 일반화와 유지에도 도움이 됨 

- 보편적 지원을 기본으로 하지만 소집단 활동 및 개별적 지원도 융통적으로 수정 운영하여 적용 가능함

- 예방 및 조기개입을 기본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적용 범위가 넓고 다양함

 

  • 강한 아이 프로그램 특징

- 적은 비용과 적은 공학 기술을 요하기 때문에 간단하게 적용 가능

- 최소한의 전무적 훈련이나 자원으로도 학교 시설에서 실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

- 메뉴얼이 있으며 제시되는 지도안 내에 수업 목적, 필요 자료 목록, 개념 복습, 새로운 개념 제시, 숙제, 역할극을 통한 실생활 활용 등의 요소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 현장 적용이 용이함

- 책자 및 저장 매체를 통해 보조자료와 검사지, 촉진 단원 등의 자료를 휴대 가능함

- 다양한 사회정서적 기술을 대상 학생의 연령에 따라 구조화하여 다루기 때문에 집중적으로 지도할 수 있음

- 국외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프로그램의 긍정적 영향이 입증 된 증거 기반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임

 

  • 국내 실시의 제한점 

- 교육과정 내에서 프로그램 운영 시 별ㄷ도의 시수 확보에 어려움이 있음 

- 국내 문화 및 증가하는 다문화 가정 학생 문화에 맞게 적용이 필요함

 

  • 국내 적용 연구

- 강현진, 최하영 (2020). 강한 청소년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정서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 김경희, 황순영 (2021). 사회과와 연계한 Strong Kids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김민진, 최하영 (2019). Strong Kids 프로그램이 중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정서적 증상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 김예지 (2014). 사회정서학습(SEL)을 적용한 음악 수업 지도안 연구. 

- 김준희(2018). Strong Kids 프로그램을 적용한 미술 활동이 사회 정서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참고: 정서행동 관련 교육 법령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1조)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피해 학생의 보호, 가해 학생의 선도와 교육 및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 간의 분쟁조정을 통하여 학생의 인권을 보호하고 학생을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육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31조 제5항) 품행이 불량하여 개진의 가망이 없다고 인정된 자, 정당한 이유 없이 결석이 잦은 자, 기타 학칙을 위반한 자는 퇴학 처분(의무교육 과정에 있는 학생 외)의 징계를 할 수 있다. 

- 장애아동 복지지원법

(제1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장애아동의 특별한 복지적 욕구에 적합한 지원을 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장애아동이 안정된 가정생활 속에서 건강하게 성장하고 사회에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장애 아동 가족의 부담을 줄이는 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1조 제1항)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아동의 인지, 의사소통, 적응행동, 감각, 운동 등의 기능 향상과 행동발달을 위하여 적절한 발달 재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