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거기반의 실제란?
1. 다수의 질 높은 연구를 통해 입증된 전략
다양한 연구자에 의해 다양한 대상과 상황에서 다수의 질 높은 과학적 연구를 통해 입증된 연구들로 인해 그 근거가 확보된 전략임
교사는 과학적으로 입증된 전략을 학습 및 교육활동에 사용함으로서 긍정적인 성과를 나타낼 수 있음
2. 과학에 기반한 연구
실험과 측정치에 기반한 체계적이고 경험적인 방법을 상요하여 가설검증과 데이터 분석을 포함함
다양한 측정과 관찰을 통해 체계적인 자료를 수집하며 다양한 평가자와 관찰자를 통해 타당한 자료를 제공함
사회과학 분야에서 비교적 엄격하고 객관적이며 과학적인 검토를 통해 인정된 연구를 근거로 함
- 특수교육에서의 증거기반 실제 적용
- 의사소통, 놀이/운동, 적응행동, 도전행동, 사회성, 학업기술 등의 분야에서 증거기반 실제를 적용할 수 있음
1. 과제분석
- 목표기술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강화, 비디오 모델링, 시간지연 등의 중재를 활용해 가르치는 것
2. 자연적 의사소통 중재
- 일상 또는 일과 중 자연스런 상황에서 의삿소통을 중재하는 증거기반의 실제
- 설명, 언어맵핑(linguistic mapping), 후속 지시, 모방 및 확장 등으로 자연적 의사소통 중재 실시
3. 중심축 반응 훈련(PRT)
- 응용행동분석을 사용해서 자연적인 환경에서 의미있는 삶을 살도록 해줌
- 중심축 행동인 동기, 다양한 단서에 대한 반응, 자기관리, 자기 시작행동, 공감과 연관된 이차 행동을 변화시킴
- 중재 목표: 자극 과다 선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많은 다양한 단서에 대한 반응을 향상시켜 정반응의 증가, 성인 교수와 아동의 반응 간 시간 간격 증가, 향상된 정ㅅ로 측정되는 동기를 증진시킴. 더불어 자기관리 및 자기 조절 능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
- 주요 특징: 조기 중재-영유아기에서 학령까지의 대상자에게 적용할 수 있으며 중재 시간과 강도, 중재자를 대상자가 익숙한 자연스런 상황에서 집중적 중재를 실시할 수 있음. 이러한 자연적 상황 및 환경에서의 중재로 대상자가 목표행동을 유지하고 일반화하는데 효과적임
- 동기: 아동에게 선택권 제공하기 / 유지과제와 습득과제 함께 제시하기 / 시도에 대한 강화 / 자연스러운 강화
- 다양한 단서에 대한 반응: 다양한 단서에 반응하도록 함으로서 과잉선택 방지 / 반응을 위한 모든 시도는 강화를 받음
- 자기 관리: 자기 점검, 자기 강화
- 자기 주도: 스스로 시작 행동 증가 / 환경 내 자연스런 단서에 반응
4. 체계적 교수
- 잘 계획되고 효과적인 교수전략을 사용하는 교수로 현재의 자료를 과거의 학습과 연관하여 선행기술을 복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 학습해야하는 새로운 과제를 과제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가르치며 다양한 촉진 사용을 통해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촉진함
- 새로운 기술 연습과 안내, 점검, 피드백의 과정을 거침
1) 과제분석: 학생이 아는 동물의 글자 + 이름을 함께 제시한다 - 다양한 그림 중 아는 동물을 찾아 모아본다 - 학습자가 모르는 동물을 찾아 모아본다 - 모든 동물 그림 위에 '동물' 글자를 보여주고 같이 읽거나 모방하여 읽는다
2) 촉진자 결정: 시각적 촉진- 그림, 상징, 그래픽 조직자 사용 / 구어 촉진- 발음 연습 기회 제공
3) 단서제공: 여기 고양이도 있고, 개도 있는데 이런 것들을 '동물' 이라고 해 - 그래픽 조직자에 그림 상징을 놓으며 시각적 촉진 제공 - 발화를 위해 단어 모델링 제공하여 구어 촉진 사용
4) 점검 및 피드백: '동물' 이라는 글자를 찾아보자 - 이 중에서 동물원에서 보았던 동물들을 찾아보자 - 오반응일 겨우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고 언어적 촉진을 제공
- 특수교육에서 증거기반 실제 적용 요소
1. 일상생활기술
- 일상생활 기술은 독립적인 성인이 되기 위한 개인적으로 행할 수 있는 생활 기술로 착탈의 기술, 요리하기, 양치하기, 대중교통 이용하기, 청소 및 빨래하기 등으로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는 당연한 기술로 받아 들여지는 기술임
- 최근 중도 중복 장애 학생들의 통합을 위한 노력으로 일상생활기술에 대한 교육이 활발해짐
- 증거기반 실제 적용 중재: 과제분석 / 자기 관리 / 사회적 상황 이야기 / 비디오와 컴퓨터 기반 모델링
2. 사회적 의사소통
- 일상 또는 일과 중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의사소통을 중재할 수 있으며 목표행동과 중재 시점에 대해 분석하여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음
- 증거기반 실제 적용 중재: 자연적 의사소통 전략 / 비디오 모델링 / 응용행동분석 / 보완대체 의사사통(AAC) / 중심축 반응 훈련(PRT) /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 / 시각적 지원
3. 학업기술
- 언어와 문해: 체계적 교수 / 시간지연
- 수학: 기술 보조 교수 / 그래픽 조직자 / 명시적 교수 / 조작
- 과학: 체계적 교수
- 관련 연구들
- 김순진, 정대영(2018). 증거기반실제의 특수교육 현장 정착 방안
- 이소현, 안의정(2017).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위한 증거 기반의 실제 탐색: 국내 연구에 대한 질적지표 분석을 중심으로
(Evidence- Based Practice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qQualitative Analysis of Domestic Intervention Research)
- 정대영, 김순진, 이상로(2017). 증거기반실제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들의 인식
- 권용화, 이영옥, 이숙정(2021). 증거기반 실제를 위한 국내 감각통합중재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 같이보면 좋은 글
UDL : 보편적 학습설계
배경 및 의미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은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 UD)에서 파생된 개념이다. UD는 모두를 위한 디자인으로서 이용가능성을 확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
pokei589.tistory.com
중심축 반응 훈련(PRT)
중심축 반응 훈련(Pivotal Response Treatment :PRT) 개념 -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핵심 결함(사회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다루기 위해 응용행동분석 기법과 발달주의 관점을 사용하는 실증적으로 타당
pokei589.tistory.com
'특수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학생을 위한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DTI) (0) | 2023.06.23 |
---|---|
공격성 대체 훈련: 공격성과 분노 조절이 필요한 아이들 (0) | 2023.06.16 |
인성교육- 용기있는 마음상자 중재 프로그램 (1) | 2023.06.15 |
UDL : 보편적 학습설계 (0) | 2023.06.07 |
진로연계교육 : 2022 개정 교육과정 (0) | 2023.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