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접하게 된, 사회정서 프로그램을 아주 간단하게 소개하고 있는 책.
'정서행동장애 학생을 위한 증거기반의 실제 가이드북'
박지연, 강하늘, 김나경, 김소연, 박인선, 위한영, 정혜림, 최미진이 공동 저자로 학지사에서 2022년 출판된 책이다.
저자들은 모두 특수교육과 교수이거나 특수교사로 현장에 자리하고 있는 이들이다.
제목에는 '정서행동장애 학생'을 대상이라고 언급하고 있지만,
요즘 우리나라 사회를 보면 과연 사회정서 프로그램이 정서행동장애 학생들을 위해서만 필요할까? 라는 생각이 든다.
학생들 뿐만 아니라 성인들도 자신의 감정을 알아차리고 긍정적으로 해소해나가는 방법을 알지 못해서
층간소음, 보복운전, 묻지마 폭행 등에 대한 사건사고가 매일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뉴스 기사에서도 주변 사람들에게서도 심심찮게 들려오는 개인의 사회정서적 어려움과 그에 따라 발생하는 많은 문제들이
'모두'를 위한 사회정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단서들이라고 생각된다.
요즈음 느끼느 것이지만 나 자신의 감정을 살펴보고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그 감정을 어떻게 해야 긍정적으로 해소하고 상대방과 어떻게 해결해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적인 교육을 받은 것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실 교육받지 않아도 배움을 얻는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이렇게 다양한 상황에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는 요소들이라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그 교육은 일찍 시작될 수록 좋다.
물론 한 번으로 끝나는 교육이 아니라 범 교과적 성격을 띄고 학년이나 학교급에 상관없이 꾸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하고 한 개인으로 보았을 때에는 배움의 사고를 습관화, 자동화를 시켜 삶에서 지속적으로 유지해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인지 소개하고 있는 책에서도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많은 사회정서 프로그램들도 함께 소개하고 있다.
읽다보면 정서행동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보다 오히려 학급 전체 학생 혹은 경계선에 있는 위험학생들을 대상으로
선제적이고 예방적인 조치를 강조하며 프로그램들을 소개한다는 걸 알 수 있다.
아직 절반밖에 읽어보지 못했지만
읽으면서 안타까운 부분들은 해당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사회정서 프로그램들 중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역 및 연구되어
보편적으로 활용되거나 적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없다는 것이었다.
미국의 경우 긍정적행동지원을 통해 단계적인 교육 시스템이 자리잡혀 있고 각 단계에 따른 사회정서적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시스템과는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사회정서 교육에 대한 관심이 충분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지금에서라도 다양한 접근에서의 사회정서 교육이 강조되고 관심을 가지게 되고 있으니 조금이라도 적은 시행착오를 겪을 수 있도록
이미 증거기반 프로그램으로 확인된 중재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 돌아가지 않는 방법이 된다.
물론 우리나라 교육의 실정과 문화적 특성 등이 고려되어진 연구들이 선행되고 축적되어져야 함은 당연한 수순이지만
사회정서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만들어 적용해보는 멘땅의 헤딩은 하지 않아도 된다는 안도감을 책을 보면서 느끼기도 했다.
해당 책의 저자 8명은 모두 특수교육 분야에 적을 두고 계시는 분들이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사회정서 프로그램은 특수교육대상학생들 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들에게도 반드시 필요한 교육이기에
이런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어떻게 접근해야할 지 모르겠는 교사, 학부모, 관련인들에게 꽤 도움이 될 것 같다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중재 프로그램은 총 14개이다.
- 스킬스트리밍 : Skillstreaming
- 강한아이 : Strong kids
- 다음단계 : Second step
- 공격성 대체 훈련 : Aggression replacement training: ART
- 용기 있는 마음상자 : Coping Power Program: CPP
- 일일 행동 점검 : Check In Check Out: CICO
- 성공을 위한 첫걸음 : First Step Next: FSN
- 멋진 나날 : Incredible Years
- 공동 행동 자문 : Conjoint Behavioral Consultation: CBC
- 이야기 지도 : Stroy Mapping
- 또래 학습 전략
- 가스비 전량 : Cover-Copy-Compare: CCC
- 도식 기반 교수 : Schema-Based Instruction
- 자기조절 전략 개발 :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SRSD
특수교육과 사회정서 학습에 관심이 많았지만 처음 보는 프로그램들도 많았고, 실제 관심있게 살펴본 프로그램들도 한국판은 거의 없어 자료를 더 찾아보는데에는 어려움과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각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개요와 흐름을 알아보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꽤 많은 정보를 주는 책이다.
해당 책을 통해 학교에서 필요한 프로그램인지, 적용이 가능한지, 활용가능한 자료들이 풍부한지 등을 비교해가며
사용할 만한 중재 프로그램을 찾는다는 마음으로 편하게 읽기를 추천한다.
다음 글부터는 각 장에서 언급하고 있는 프로그램들을 하나씩 소개하고 이야기해나가려고 한다.
14개의 프로그램을 모두 소개하지는 않고 읽어나가면서 공유하고 싶거나 활용해보고 싶은 프로그램들을 정리할 예정이다.
나처럼 사회정서 교육 및 프로그램에 전반에 대해 알고 싶다면 앞으로 이어질 글들 확인해보길 바란다.
그리고 그 중 특정 프로그램에 대해 더 알고자 한다면 오늘 소개한 책과 관련 연구들을 찾아보길 추천한다!
'특수교육 > 사회정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쓰기 중재 전략, SRSD (0) | 2023.05.17 |
---|---|
사회정서: 다음단계(Second Step) 프로그램 (1) | 2023.05.08 |
사회정서학습(SEL)이란? (0) | 2023.05.03 |
사회정서: 강한아이(Strong Kids) 프로그램 (0) | 2023.05.02 |
사회정서: 스킬스트리밍(Skillstreaming) (0) | 2023.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