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3

쓰기 중재 전략, SRSD 단순 쓰기 관점 (Simple wiew of writing : SVW) 작문 (Text generation) + 전사: 글씨쓰기 (Transcription) + 자기규제 (Self-regulation) Point. 작문의 작업기억 용량이론!!! 작업기억은 그 총량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작문하면서 특정 단어를 정확하게 철자하는 데에 지나치게 인지능력과 시간을 소비하면 작업기억에 저장했던 쓰고자 하는 내용ㅇ과 계획을 잊어버리게 된다는 이론으로 단어와 철자를 기계적으로 쓸 수 있어야지만 작문의 양과 질이 향상된다는 관점 자기조절 전략교수 - SRSD (Self 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 학업 부진, 학습장애, ADHD, 정서 행동장애 등의 학생들 뿐만 아니라 장애가 없더라도 .. 2023. 5. 17.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란?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개인의 내적 요인으로 인하여 듣기, 말하기, 주의집중, 지각, 기억, 문제해결 등의 학습기능이나 읽기, 쓰기, 수학 등 학업 성취 영역에서 현저하게 어려움이 있는 사람 [미국 장애인 교육법-IDEA, 2004] - 듣기, 생각하기, 말하기, 읽기, 쓰기, 철자법, 수학 계산을 수행하는 불완전한 능력으로 나타날 수도 있는 말이나 글로 표현된 언어를 이해하거나 사용하는 데 포함되는 기본적인 심리적 과정에 있어서의 한 가지 이상의 장애 - 지각장애, 뇌손상, 미세 뇌기능 이상, 난독증, 발달적 실어증과 같은 상태를 포함 - 시각, 청각, 운동기능상의 장애, 또는 정신지체, 환경적, 문화적, 경제적 불이익이 주원인인 학습 문제를 보이.. 2023. 5. 16.
또래 중개 지원 중재 중재 대상자 - 또래와의 상호작용 또는 관계의 질적이거나 양적인 면 또는 둘 다를 다루는 개별화교육계획(IEP) 목표가 수립된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대상인 경우 중재의 효과성이 높음. - 물리적, 환경적 근접성에도 불구하고 동일 연령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제한을 보이는 아동 - 사회성 또는 의사소통 기술 습득이 낮거나 표현이 없어 상호작용에 제한을 보이는 아동 - 학급이나 학교 생활에서 활동에 참여하는데 많은 지원이 요구되고 필요로하는 아동 중재 진단 - 중재가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학생을 대상으로 직접 관찰을 통한 진단 실시 - 또래 중개 지원이 특별히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통합학급, 운동장, 급식실 등의 환경과 소그룹, 협동활동 등과 같은 교수적 맥락 파악하기 -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이 적극적으로.. 2023. 5. 15.
지적장애 (Intellectual Disability)란? 전체 인구의 1~3%로 학령기 때 발견되어야하는 장애인 지적장애는 과거 정신지체로 불렸지만 2007년 10월 '장애인 복지법'이 개정되면서 현재의 '지적 장애'라는 이름으로 명명되고 있다. 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정신지체라는 명칭도 장애에 대한 이해가 낮고 시선이 좋지 않았을 땅시 정신박야라는 명칭을 사용하던 것이정신지체라고 수정되어 사용되었지만 이 또한 장애인에 대한 무시와 편견이 내포된 단어라는 지적을 받아들여 지적 장애로 개정되었다. 지적장애는 신경발달적 장애로 그 원인으로 염색체 이상, 대사장애, 두뇌의 손상 등이 언급된다. 연색체 이상의 지적장애로는 다운증후군이나 프래더월리 증후군이 있으며, 임신 중 산모의 풍진이나 매독 등의 질병으로 뇌손상을 입어 지적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산모가 .. 2023. 5. 14.
자폐 범주성 장애란? 우리나라에서 자폐 범주성 장애의 개념을 성립하고 장애의 한 분야로서 분류하기 시작한 것은 불과 몇년밖에 되지 않았다.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특징을 가진 사람들 대부분은 정지적 장애(정신지체)로 분류되었다.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은 광범위한 발달 장애(PDD)로 인식되었기에 따로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은 따로 그 특성이나 진단의 기준을 세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도 했다. 2004년 장애인 교육법(IDEA)이 개정되던 때 정신지체장애가 지적장애로 명칭이 변경되고 발달장애는 자폐성 장애로 대체되면서 '자폐성 장애'에 대한 명확한 진단 기준과 그 특성이 공고히 되었다. 이렇한 변화된 장애인 교육법을 반영하여 2007년 장애인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도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되는 해당 군에 '자폐성 .. 2023. 5. 11.
2022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2022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고시 교육부 고시 제2022-34호 유아교육법 제13조제2항, 초·중등교육법 제23조제2항 및 제 48조,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 20조제1항, 국가교육위원회법 부칙 제4조에 의거하여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한다. 1.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과 같다. 2. 유치원 교육과정, 공통 교육과정 및 선택 중심 교육과정은 [별책 2]와 같다. 3. 기본 교육과정은 [별책 3]과 같다. 2022년에 고시된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은 각 학교급과 학년마다 시행 일시가 상이하다. - 유치원과 초등학교 1, 2학년의 경우 2024년 3월 1일 자로 적용되며 - 초등학교 3,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은 2025년 3월 1일 자로 시행, - .. 2023. 5. 9.
사회정서: 다음단계(Second Step) 프로그램 다음 단계(Second Step)의 역사 - 1979년 아동위원회 설립: 문화인류학자 제임스(James, J.)와 보이어(Boyer, D.) '학대 및 성학대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1981년 '만지는 것에 대해 말하기' 프로그램: 아동이 개인 안전 기술을 습득하고, 성적 피해를 인지하여 이에 저향하고, 교사와 부모에게 신고하는 기술을 배움으로써 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기술을 배움 - 1985년 '다음 단계' 프로그램: 개인 안전은 아동 안전의 첫 단계일 뿐,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아동이 학대자로 자라지 않게 하는 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아동의 안전과 안녕,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 1992년 슈어(Shure, M.B.)의 'I Can Problem Solve(ICPS)' 프로그.. 2023. 5. 8.
사회정서: 공격성 대체 훈련(ART) 공격성 대체 훈련(Aggression Replacement Traning: ART)이란? 1. 역사 - 골드스타인(Goldstein, A.P.)과 그릭(Grick, B.)이 12세에서 17세 사이의 청소년을 위해 1980년에 개발한 프로그램 - 1987년 첫 번째 매뉴얼이 출간되었으며 이후 30년 이상 학교 현장과 청소년 기관 및 기타 환경에서 꾸준히 적용하면서 연구 결과가 축적되며 그 효과가 검증된 증거 기반의 프로그램 2. 목표 -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문제를 가진 청소년의 행동 변화를 위해 훈련을 제공 3. 정의 - 청소년의 공격성과 폭력성을 유발하는 행동, 정서, 인지적인 원리를 강조하면서 공격성 행동에 관한 이론과 실습, 기술을 하나의 포괄적인 체계로 통합한 '다중 모델 기반'의 중재 프로그램 *.. 2023. 5. 7.
자폐성 장애: 공동관심(Joint Attention)중재란?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의 특징 A. 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의 어려움 - 타인과 참여하고 생각과 느낌을 공유하기 어려움 - 비언어적 소통(눈맞춤하기, 보디 랭귀지와 얼굴 표정의 이해 및 사용 등)의 어려움 - 개인 간의 관계를 발달, 유지 및 이해하기 어려움 B. 행동, 관심 및/또는 활동의 제한되고 반복적인 패턴 - 반복적인 움직임 또는 말 - 확고한 일상의 틀에 집착하고 변화에 저항함 - 매우 제한되고 집중적인 관심 - 맛, 냄새, 질감 등 신체 감각에 대한 반응이 너무 크거나 너무 떨어짐 공동관심이란? - 다른 사람, 사물 등에 대한 누맞춤, 몸짓 또는 음성을 통한 공동 초점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것 - 흥미로운 활동에 참여시키기 위한 시도나 원하는 사물이나 활동을 제공받기 위한 요구의 목적을 .. 2023. 5. 5.